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아폴로 계획(우주계획)--달 탐사 (항공우주공학) 본문
1960~70년대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수행한 달착륙계획:우주비행사 닐 암스트롱은 달 표면에 발자국을 남긴 최초의 인간모습
1961년 5월에 공표되었으나, 달착륙과 귀환(歸還)을 위한 알맞은 방법을 고안하는 데 오랜 시간의 연구가 필요했다. 최종적으로 선택된 방법은 강력한 발사체(發射體)인 세턴 5호 로켓으로 달에 도달한 50t의 우주선을 자체의 역추진 로켓으로 달 주회(周回)궤도에 진입시키는 것이었다. 또한 우주선의 일부이며 자체 로켓 동력으로 인간을 달에 착륙시키고, 다시 달 주위를 돌고 있는 모선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만들어진 달착륙선(Lunar Module/LM)을 발사할 수 있었다.
미국 워싱턴 D. C.에 있는 국립항공박물관 우주관에 전시되어 있는 아폴로 달착륙선 모형
발사연습 도중 우주선 내의 화재로 3명의 우주비행사가 죽은 참사로 최초의 유인(有人) 아폴로 비행은 연기되었다. 몇 번의 무인(無人) 지구 주회궤도 비행에 이어, 1968년 10월 11일 아폴로 7호가 3명의 우주비행사를 태우고 쏘아 올려져서 163회의 궤도비행에 성공했다. 아폴로 8호는 지구 주회궤도에서 달의 공전궤도로 투입되어 달 주회궤도를 완전히 선회한 다음 지구로 무사히 귀환하여 유인 달탐사의 첫 단계를 수행했다. 아폴로 9호는 지구 주회궤도에서 달착륙선의 성능을 검사했다. 아폴로 10호는 달 주회궤도로 비행하여 달표면 15km 이내까지 달착륙선을 근접시키는 시험을 했다. 1969년 7월 아폴로 11호는 달착륙을 성공함으로써 인류역사에 신기원을 이룩했으며, 우주비행사 닐 암스트롱은 달 표면에 발자국을 남긴 최초의 인간이 되었다. 1970년 4월에 발사된 아폴로 13호는 산소 탱크의 폭발사고로 고장이 났지만 지구로 무사히 귀환했다. 그 이후의 아폴로 우주비행에서는 월석 표본을 채취하거나 태양풍 실험과 달 표면의 지진측정과 같은 과학연구를 위한 장비를 설치하는 등 광범위한 달표면 탐사가 이루어졌다. 이 계획의 마지막인 아폴로 17호 비행은 1972년 12월에 실시되었다
우주비행사 닐 암스트롱은 달 표면에 발자국을 남긴 최초의 인간모습
달 탐사 (항공우주공학)
무인(無人) 및 유인(有人) 우주선으로 달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것.
In July 1969, astronaut
The BBC's aerospace correspondent at the time, Reg Turnill, reported on the Apollo 11 launch from the Kennedy Space Center in Florida, and later from
He is now retired, but here - with the help of archive material from the mission, and the US and UK number one records from that week - he recalls how Nasa rose to the challenge of putting man on the Moon
'Guide Ear&Bird's Eye > 21세기 동아시아인 노벨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가정용 연료전지 보급으로 이산화탄소 삭감 도모 (0) | 2009.07.20 |
---|---|
일본정부, 달의 유인탐사 간담회 설치 (0) | 2009.07.19 |
영국, 전력의 30퍼센트를 풍력, 조력발전으로 충당한다 (0) | 2009.07.17 |
클래스터 폭탄 금지 조약, 일본 14번 째 체결국 (0) | 2009.07.15 |
Tags to help solve puffin decline (0) | 2009.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