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차기 미국 대통령으로 유력시 되는 버락 후세인 오바마 민주당 상원의원... 본문
차기 미국 대통령으로 유력시 되는 버락 후세인 오바마 민주당 상원의원...
CIA Bear 허관(許灌) 2008. 10. 12. 12:11자유를 향하여 백인도 흑인도 아닌 흑인 아버지와 백인 어머니 사이에 태어난 혼혈아 출신 미국 최초의 대통령.. CNN 미국 선거인단 확보 동향 자료 버락 오바마 264명(safe Obama 177명과 leaning Dbama 87명)과 존 매케인 175명(Safe Mccain 125명과 leaning Mccain 49명)입니다 부동층(tossup) 100명입니다 버락 후세인 오바마 후보가 승리하기 위해서는 270명 선거인단을 확보해야 합니다 버락 후세인 오바마 후보가 흑인 출신이 아닌 백인 어머니와 흑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아 출신임으로 미국 선거에서 등장한 브래들리 효과(흑인 후보를 지지한 백인들이 투표땐 백인 후보를 찍은 경향)가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http://edition.cnn.com/ELECTION/2008/calculator
*오바마는
하와이대 학생이던 케냐 출신 아버지와 백인 어머니는 오바마가 두 살 때 이혼을 하였다.
*1971년 하와이 호놀룰루를 방문한 아버지와 즐거운 한때를 보내는
소년 오바마.
*하와이 소재 푸나호우고등학교 졸업식때 축하해 주는 여동생
버락 후세인 오바마(영어: Barack Hussein Obama [bəˈrɑːk hʊˈseɪn oʊˈbɑːmə], 1961년 8월 4일, 하와이 주 호놀룰루~ )는 미국의 정치인으로서, 2008년 미국 대통령 선거의 민주당 후보이다. 특히 미국 사상 최초의 혼혈아 후보이기 때문에 그에게 더욱 세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1.성장과정
케냐 출신으로 케네디 재단의 지원으로 미국에서 유학 중이었던 아버지와 미국 캔자스 주 출신의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아이다. 2살때 부모의 이혼과 그 직후 어머니의 인도네시아 거주 동행 등 다양한 지역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 다문화 가정이나 한때 마약에 손을 대는 등 불행한 청년 시절을 보내기도 했다.
그러나 이를 극복하여 1983년에 컬럼비아 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한 후 시카고 시의 빈민가에서 인권 운동가로 맹활약하였고, 그 이후에는 탁월한 학업 성취를 발휘, 1991년에 아프리카계 미국인으로는 사상 처음으로 하버드 대학교 법과대학의 학술지 편집장을 지냈으며 그 직후 수석 졸업하였다. 이후 시카고 시 지역을 중심으로 지역 기독교계의 자선 봉사 단체 및 시민 법률 상담 활동을 하면서 지역 기반을 다졌고, 1990년대에 지역 인권 변호사로 그 명성을 드높였다. 1993년부터 2004년까지 시카고 대학교 법과 대학의 인기 전임강사로서 헌법과목을 지도하여 학술적으로도 그의 이름을 널리 알렸다. 1996년 클린턴 전대통령 도움으로 일리노이 주 상원의원(민주, 시카고 남부 제13지역구 대표)이 되면서 정계에 입문하였으며, 활발한 입법활동으로 유명세를 드높였다. 2004년 11월의 미국연방상원의원선거(일리노이 주 대표)에서 민주당 소속으로 출마해 70%의 압도적인 득표로 당선, 현재에 이르고 있다.
미국 중앙정치무대에서 이라크전에 강력하게 반대한, 유일한 개혁적 아프리카계 정치인이라는 사실과 더불어, 2004년 8월 보스턴에서 열린 민주당 전국전당대회 기조연설과 2004년, 2006년 선거전 등에서 보여준 천재적인 대중연설 능력과 열성 지지자들의 성원에 힘입어, 2007년 2월 제44대 미국 대통령 선거의 민주당 후보경선에 출마를 선언하였다. 2008년 6월 3일, 민주당의 대통령 후보지명에 필요한 대의원수를 확보하여, 당의 공식 후보로 사실상 확정되었으며 2008년 8월 28일 민주당 전당대회에서 후보 지명 수락 연설을 함으로써 공식적으로 민주당 대통령 후보가 되었다
2.주요정책과 나아갈 방향---온건보수과 진보 조화 필요 그리고 평화를 위해서는 선제공격으로 적 기지 타격 필요...
일리노이 주 상원의원시절부터 명분없는 이라크 전쟁에 거듭 반대해온 그는 집권시 2008년 3월까지 이라크에 파병된 자국 군인들의 완전한 철수를 핵심 공약으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전국민 건강보험 혜택(당선시 그의 첫 임기 말까지)과 대학 교육 비용 절감 및 중산층과 서민을 위한 세금제도 개편 등 더욱 적극적인 사회복지정책들을 추진하고,
또한 지구 온난화 문제 해결을 위한 교토 의정서의 조속한 비준과 더불어 에탄올 등의 대체에너지 개발을 촉진하며, 초고속통신망의 조기 구축을 통한 지식정보화 강국 건설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아울러, 지나치게 보수적이면서 땅에 떨어진 워싱턴 D.C. 기성 정치권의 신뢰 회복 및 공정하고 투명한 정치제도 개혁을 약속했다. 하지만 반대자(주로 힐러리 클린턴을 지지했던 사람들과 공화당의 지지자)들은 그의 핵심공약들과 그 실현 가능성, 특히 추진 비용 등을 문제 삼고 있다.
-반전이 세계평화 도움이 아닌 좌파세력 세력 확장 이론일때는 미국이 강대국에서 후진국으로 전환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평화를 위해서는 적 기지를 선제공격할 수 있을 만큼 국가안보와 평화이론에 무장화돼야 한다고 봅니다
-복지정책도 중요하지만 젊은층이 일하는 국민으로 될 수 있도록 직업훈련이 필요하고 노인 복지정책에 주력해야 할 것입니다 고도소비사회 미국이 후진사회로 나아가는 것은 젊은층이 일하지 않고 놀고 먹은 실업자 복지정책이 문제로 등장하고 있으며 진보라는 입장에서 낙태나 동성애 인정등으로 가족과 가정을 파괴하는 과도한 자유를 외치고 있다는 것입니다
미국도 가족주의 가정과 복지정책으로 나아가야 할 때입니다 미국 민주당 정책 동성애 인정이나 결혼, 낙태 전면적 허용등이 가족주의 우선시 하는 동양사회나 아시아인들에 적합한 문화가 아닙니다 이 정책 수정돼야 할 부분입니다
3.대(對)한반도 정책
2008년 2월 11일, 오바마는 자신이 속한 미국 연방상원 외교위원회에서 '남-북한 정부에 보내는 메시지'를 통해 한반도 문제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밝혔다. 이 발표문에서, 북한의 핵 문제에 대해서는 현 미국 정권의 불안한 접근방식 등으로 인해 북한으로 하여금 핵무기 보유를 확대하는 결과를 초래했다고 비판하면서, '북한에 어떠한 환상도 갖고 있지 않'은 자신이 집권하면, 단호하고 지속적으로 '한반도 비핵화'를 계속 추진할것을 공언했다. 한미자유무역협정 비준 문제에서는 체결시 미국의 근로자들에게 매우 불리한 협정이 될것이라며 비준 반대 및 재협상 입장을 밝혔다. 특히 상호주의에 입각하여 '한국이 미국에 자동차를 파는 만큼 미국도 한국(시장)에 (자국의)자동차를 팔수 있어야 한다'며 자동차시장분야에 문제를 집중 제기하였다
-미국 민주당의 보호무역정책이 금융불안과 자유무역 불안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지금 세계는 하나입니다 보호무역보다는 관세 장벽 철폐와 함께 자유무역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특히 금융은 보호보다는 자유로와야 합니다
사회주의 논리로는 금융문제를 해결할 수 없고 자유주의 논리로 금융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미국 사회의 진보진영의 다국기업 철폐운동이 국제적 경제발전과 미국 경제에도 부정적 시각입니다
다국기업 발전이 국제사회 배고픔 철폐운동에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미국이나 선진국이 후진국이나 개발도상국에 기업투자를 해야 하고 기술이전을 해주어야 합니다. 다국기업이 후진국을 개발도상국으로 등장하게 하는 주요한 기술과 자본이전을 도와주고 있습니다..
4.미국 대통령 선거 동향
미국사회 혼혈아, 젊은층과 남성 및 사회적 소수계층에서 더 높은 지지를 받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2008년 1월 3일에 치러진 아이오와 주의 민주당 후보경선에서 38%를 득표하여 30%를 득표한 존 에드워즈와 29%를 득표한 힐러리 클린턴을 제치고 승리하였다. 이후, 민주당의 대통령후보 지명을 눈앞에 두고 지역별 순회경선에서 힐러리 클린턴과 치열한 접전을 벌인 끝에, 6월 3일, 당의 공식 대통령 후보로 간주되고 있다. 많은 백인 유권자들이 오바마를 지지하지 않아 인종적 한계는 여전히 남아 있으며, 심지어 인종차별을 배격하는 백인들도 아직 흑인 대통령은 시기상조라고 인식하고 있다.
8월말 현재, 델라웨어 주 상원의원 조 바이든(Joseph Biden)을 자신의 부통령 후보(running mate)로 지명했다.
가족으로, 부인인 미셸 오바마(Michelle Obama, 1964년 1월 17일 출생, 전 시카고대학교병원 부원장)여사와 두 딸들(말리아, 사샤)이 함께 살고있다.
그는 흑인도 아닌 흑인과 백인 사이에 태어난 혼혈아입니다
'Guide Ear&Bird's Eye56 > 미합중국[美合衆國]' 카테고리의 다른 글
U.S., Korean Leaders Reaffirm Mutual Defense Treaty (0) | 2008.10.18 |
---|---|
버락 후세인 오바마 주요 사진과 자료 (0) | 2008.10.12 |
자유의 여신상 (미국 조각) [Liberty, Statue of]과 부시 대통령 (0) | 2008.09.24 |
President Bush Attends Dedication of 9/11 Pentagon Memorial (0) | 2008.09.12 |
President Bush shakes hands with Madame Liu Yongquig, wife of China's President Hu Jintao (0) | 2008.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