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고구려 영류왕 때 승려 혜관[慧灌] "일본 삼론종(三論宗) 시조" 본문

-平和大忍, 信望愛./韓中日 동북아역사(한자언어문화권)

고구려 영류왕 때 승려 혜관[慧灌] "일본 삼론종(三論宗) 시조"

CIA Bear 허관(許灌) 2007. 5. 28. 19:58
 

고구려 영류왕 때의 승려.

일본 삼론종(三論宗)의 시조이다. 일찍이 수나라에 건너가 삼론종의 대성자 길장(吉藏)에게 사사했다. 625년(영류왕 8) 1월 고구려 사신과 함께 일본으로 건너가 나라[奈良]의 겐코 사[元興寺]에 머물렀다. 그해 여름 크게 가물자, 왕명을 받아 기우제를 행하여 큰 비가 내리게 했으며, 이로 말미암아 승정(僧正)으로 임명되었다. 그뒤 가와치[河內]의 쇼조 사[井上寺]를 창건, 삼론종을 선양하다가 죽었다. 제자로는 복량(福亮)·지장(智藏)·도등(道登)·혜운(慧雲)·영운(靈雲)·혜묘(慧妙)·상안(常安)·혜복(慧僕)·지원(智圓)·혜사(慧師) 등이 있다.

 

1.삼론종[三論宗]

중국 수나라 때에 번성한 불교 종파의 하나.

'3론'(〈중론 中論〉·〈백론 百論〉·〈십이문론 十二門論〉)을 널리 내세움으로써 이러한 이름을 얻었다. "모든 것은 본성적으로 실체가 없다"(諸法性空)는 설을 거듭 천명했기 때문에 '법성종'(法性宗)이라고도 불린다. 삼론종은 법랑(法朗:507~581) 때부터 형태를 갖추기 시작하긴 했으나 실질적인 창시자는 길장(吉藏:549~623)이라고 할 수 있다. 길장은 구마라집(鳩摩羅什)과 승조(僧肇)의 옛 가르침을 받아들이고 승랑(僧朗), 승전(僧詮), 법랑의 계통을 이었으며, '3론'에 대한 주소(注疏)를 쓰고 〈삼론현의 三論玄義〉를 저술하여 인도의 용수(龍樹 Ngrjuna)와 데바(提婆 ryadeva)의 중관사상(中觀思想)을 이어받아 널리 폈다. 이 종파의 기본사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언가에 집착하는 것을 바르지 않다고 보고 아무런 집착이 없는 것을 바르다고 본다. 언어에 집착하여 머무르지 않는 것에서 시작하여 마음에 집착이 없는 경지에 이르는 것을 가르침의 주된 내용으로 하여, 무엇인가에 집착하는 모든 견해를 깨뜨릴 것을 주장하며 얻을 것이 없음을 종파의 중심적 사상으로 삼았다. 둘째, 세속에서 만물에 대하여 실제로 존재한다고 보는 것(俗諦)과 불교에서 만물에 대하여 허공과 같이 실체가 없다고 보는 것(眞諦)은 "둘이되 둘이 아니다"(二而不二)라고 하여 어느 한쪽의 관점에도 치우치지 않는 것을 '중도'(中道)라고 한다. 셋째, 만물은 근본적으로 "생성되지도 않고 멸하지도 않으며, 영원하지도 않고 순간적이지도 않으며, 하나인 것도 아니고 여럿인 것도 아니며, 오는 것도 아니고 가는 것도 아니다"(不生不滅 不常不斷 不一不異 不來不去)라고 하는, 이른바 '팔부중도'(八不中道)를 설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이미 고구려 때에 3론에 조예가 깊은 승려들이 많이 있었으니, 중국의 남북조시대에 3론의 가르침을 부흥시켜 승전에게 전한 승랑이 고구려 출신이었을 뿐만 아니라 길장에게서 삼론종의 학설을 배워 일본에서 삼론종을 개창한 혜관(慧灌)도 고구려 출신 승려였다. 혜관에 의하여 625년에 삼론종을 받아들인 일본에서는 지장(智藏)이 혜관에게서 배운 뒤 다시 당나라에 가서 길장으로부터 배우고 귀국하여 원흥사(元興寺)를 개창했고, 지장의 제자인 도자(道慈)는 당나라에 유학하고 돌아와 따로 대안사(大安寺)를 개창하여 별도의 유파를 형성했다. 삼론종은 중국 내에서는 당나라 이후로 점차 쇠퇴했다.→ 중관학파

2.관(灌)

灌頂之水必流足底(관정지수필류족저)

높은 곳의 물은 반드시 낮은 곳으로 흐른다

[かんじょう]  관정. ①(しんごんしゅう)에서 불문에 들어갈 때나, 수도자가 일정한 지위에 오를 때 머리에 향수를 붓는 의식. ②묘석에 물을 부음. ③아악(樂)에서, 비법의 전수.

[かんすい]  관수. 물을 뿌림.

[かんぶつ]  관불. ~(え) 관불회.

[かんぼく]  관목.

[かんがい]  관개.

[かんちゅう]  관주. 부어 넣음.

-우남(雩南):남쪽의 우물

 

 

 

-중국. 한국. 일본이 하나의 민족이다

언어나 문자등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성씨에서도 잘 드러나고 있다

 

언어를 극복할 수 있는 것은 한문으로 삼국인들이 서로의 의사 소통이 가능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후손들은 한글이 삼국의 통합 언어가 될 가능성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