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동아시아 알(I=intelligence)센터:미국 초대 대통령 조지 워싱턴(George Washington) 생애(生涯)와 "합중국은 위대한 것이다" 연설문 자료 본문
Guide Ear&Bird's Eye/미합중국[美合衆國]
동아시아 알(I=intelligence)센터:미국 초대 대통령 조지 워싱턴(George Washington) 생애(生涯)와 "합중국은 위대한 것이다" 연설문 자료
CIA Bear 허관(許灌) 2006. 9. 5. 19:241.조지 워싱턴(George Washington, 1732년 2월 22일-1799년 12월 14일) 생애(生涯)
조지 워싱턴은 미국 초대 대통령으로서 대영제국의 밑에 있다가 독립된 미국의 초대 대통령이다 우리들에게 너무나도 잘 알려져 있는 대통령이며 미합중국(미국)에서의 <건국의 아버지> 국부(國父)로 추앙받고 있으며 영원한 민주주의 선구자이다
조지 워싱턴 대통령은 1732년 2월 22일 버지니아 대영제국 식민지 웨스트모어랜드에서 태어났다
그는 주로 부친과 매형으로부터 교육을 받았으며 1748년 측량사 자격 취득하여 토지측량관으로 출발했다 1753년 마운트버넌농원을 매형의 유산으로 상속받았다 프런치. 인디언 전쟁에서는 민병군 사관으로 종군하여 오하이오강 지방에 진출하는 프랑스군에 대항 영국군에 협력하여 전공을 세웠다
1759년에는 부유한 미망인 M.커스티스(Martha Dandridge Custis))와 결혼하여 농원경영을 확대시키는 동시에 1774년까지 버지니아 식민지 의회의원을 지내는등 전형적인 대농(大農場) 경영자의 길을 걸었다
그때 그는 흑인노예제도에 바탕을 둔 담배 생산이 벽에 부딪치게 되자 곡물생산과 매뉴팩처, 나아가서 서부의 토지투기에서 활로를 찾으려 했다
그런 만큼 7년 전쟁(1756-1763) 뒤 식민지 본국인 영국의 중상주의 강화책 특히 식민지인의 서부진출금지책(1763년의 국왕선언, 1774년의 퀘벡법)에 반발하여 독립을 희망하게 되었고 더 나아가서는 광대한 서부를 영토로 삼는 아메리카제국 수립에 기울어지게 되었다
1774년 대륙회의 개최와 동시에 버지니아 대표가 되었고 이듬해 영국 본국과의 무력충돌이 일어나자 13개 식민지 전체의 대륙군(민병대) 총사령관으로 추대되었다 그때부터 약 10년 동안 지역할거주의와 반군감정이 드센 가운데 규율도 없고 장비. 보급도 빈약한 농민병을 훈련시키며 유럽에서 제일 강한 영국 정규병, 독일인 용병과 싸웠다
그는 정면충돌에서는 여러 차례 패배했기 때문에 전략적 방위를 철저하게 다지고 기회를 보아 기습공격을 감행하여 지구전(持久戰)으로 들어갔다
1777년 말부터 반년동안이나 계속된 밸리포지에서의 굶주림과 추위 속의 야영생활에서 독립전쟁의 고난을 체험했다
1778년 프랑스와의 동맹이 성사된 뒤 주전장(主戰場)이 된 남부에서 게릴라전이 활발히 전개되었고 1781년 콘월리스군을 요크타운에서 포위하여 이들을 항복시킴으로써 사실상 독립전쟁에 종지부를 찍었다
강화가 성립된 뒤 다시 농원생활로 돌아갔으나 1787년 필라델피아연방헌법제정회의에서 의장으로 추대되어 약체인 연합정부를 대신하는 강력한 중앙정부의 수립에 공헌했다
1789년 만장일치로 미국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어 국방부장관 토마스 제퍼슨, 재무부장관 알렉산더 해밀턴등을 임명했으며 1792년에 재선되었다
대통령으로서는 A.해밀턴의 재정정책에 따르면서 연방주의자와 반연방주의자와의 균형을 시도했으나 1794년 "위스키반란(펜실베이니아 서부 농민의 위스키 과세반대, 반중앙권력의 반란)"에는 스스로 출동, 진압시켜 국가 위신을 과시했다
외교면에서는 1789년 프랑스대혁명이 일어나자 중립을 선언했으며 영국과 에스파니아와는 각각 제이조약. 핑크니조약을 맺어 국교조정에 공헌했다 그리고 미국의 배(선박)들은 1790년 이전에 벌써 중국에까지 진출하여 모피를 팔고 차와 비단을 사들여왔다
그는 대통령 3선의 폐해를 고려하여 1796년 대통령직에서 은퇴(퇴임)를 결의하고 유명한 <고별사>를 발표했다
이 고별사에서 당쟁 및 외국과의 분쟁을 경고했는데 이것이 독립주의 외교의 전통적 발단이 되었다 그의 사후에 미국의회는 그의 죽음을 애도하며 <전쟁에서도 평화에서도 제1인자이고 국민의 마음 속에 떠오르는 최초의 인물>이라는 찬사를 보냈다
그가 죽은 직후부터 그를 국민적 영웅으로 신격화하는 움직임이 일어나 많은 신화를 만들어냈다.
-거룩한 섬광과 같은 것은 부족하지만 그러나 너의 가슴이 살아 숨쉬도록 하는 것 그것은 양심이다(위싱턴이 14살 때 쓴 글)
-내가 새라면 펄펄 날아가리라 저 하늘처럼 자유롭게 평화롭게(중학교 시절 워싱턴 연설문을 읽고 산 봉우리에서 저 넓은 들판과 그 들판에 날아가는 새를 보며)
(1)미국 제1대 대통령
(2)재임기간:1789-1797(연방당-공화당 前身)
(3)영부인(First Lady):마타 커티스 Martha Dandridge Custis 1732-1802
(4)출신
1733년 2월 22일 버지니아 Westmoreland County에서 출생
(5)주요 경력
1748년 측량사 자격취득과 함께 측량사로 활동
1753년 버지니아 민병대의 중령으로 진급(民兵隊-민간인 주도 창설한 자치군대)
1755년 버지니아 식민지군의 군사령관
1759년-74년 버지니아 하원의원
1755년-75년 제1차. 제2차 대륙회의의 버지니아 대표
1775년 6월 16일 제2차 대륙회의에서 창설된 대륙군 총사령관(Commander in chief of Continental Army, 1775-1783)
1787-88년 제헌의회 의장
1789년 2월 4일 선거인단의 만장일치로 미국 초대 대통령(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당선
1789년 4월 30일 뉴욕의 연방홀에서 취임식
1793년 재선
1796년 9월 필라델피아에서 고별사 낭독( 고별사에서 워싱턴은 세 번째의 출마를 사양하는 입장을 밝히면서 미국민들에게 대내적으로 정당간 및 지역간의 대립을 경계하고 대외적으로는 외국의 분쟁에의 개입을 경고하며 경제적 확립을 위하여 국가의 재정적 신용을 높일 것을 당부했다 세계 헌정사에서 가장 자유와 민주주의를 실천한 분으로 평가되고 있다 21세기 세계 모든 나라 지도자들이 일깨워야 할 정신이다 대통령제에서 대통령이 3선 출마행위는 독재자이다 그러므로 국민들은 3선에 출마한 압제자와 투쟁할 권리가 있다 )
1799년 12월 14일 버지니아 Mount Vernon에서 사망
모든 것이 잘 되었다 이제 나는 죽는다. 나는 죽는 것이 두렵지 않다(워싱턴이 임종시 남긴 말)
2.미국 초대 대통령 조지 워싱턴의 "합중국은 위대한 것이다" 연설문
자유로운 국토여!
일찌기 그의 품안에 내가 자라매 그 귀중함을 알고 자유를 위하여 전쟁의 위험을 무릅쓰고 내 반생의 온 정성을 기우려 자유를 받들어 세우기에 힘써 백난(百亂)을 물리치고 자유의 낙토(樂土)에 이르렀습니다
이제 압제 아래 신음하던 백성들이 자유의 깃발을 휘두르는 이 마당에 지난달을 회상함에 스스로 심각한 동정에 가슴이 막힙니다
본인의 대외정책은 세계 뭇(모든) 나라와 평화를 유지하며 언약(言約)을 지키고 나라 사이에 오해 푸는 정의정책(正義政策)이었습니다 모든 국민에게 정의(正義)를 행하여 이와 화합하여 이와 조합하는 것이 종교와 도덕의 명령이라면 이 또한 선량한 정책이 다 같이 명(命)하는 바가 아니겠습니까? 하느님이 국민의 영원한 진리가 행복을 그 덕행 속에 이르게 하심을 누가 부정하겟습니까? 덕성과 헹복의 의무요! 선량한 정책과 모든 국민의 번영을 서로 상반하는 명백한 진리입니다
아메리카 합중국(美合中國)내 각 주(州)마다 최소한 차이야 있을망정 동인종교, 동일한 풍속, 동일한 주의를 가졌습니다 우리는 공동이익을 도모하기 위하여 싸워서 이겼습니다 우리의 오늘날 얻은 독립과 자유는 우리의 합심한 노력과 위험, 고통에서 벗어난 성공의 열매라 할 것입니다
아메리카정부(미국정부)는 자유주의 위에 건설되어 권력은 고르게 분배되고 국민의 신뢰와 원조를 요구할 정당한 이유가 있습니다 국민은 정부의 권력을 존중하고 그 율법(헌법과 법률)대로 쫓으며(따르며) 그 방침을 도와야 합니다 권력을 향유(享有)하려면 또 국민의 정부를 세울 수 있는 권력은 동시에 이미 세워진 정부의 적법(適法)한 행위에 국민이 복종할 의무 안에서 비롯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법률을 정당히 시행함에 모든 애해(碍害-저해)는 정부의 행동을 압제하거나 또는 지배하려거나 또는 그것을 책(策)하는 온갖 동성(同盛)은 그 성질의 여하를 물을바 없이 철저히 파괴해야 하는 바 입니다
바라건대 하느님의 보호 안에 합중국(美合中國)은 위대한 것입니다
내우외환(內憂外患)이 자취를 감추게 할 것입니다
하느님이 주신 축복(祝福)으로 하여금 큰 열매를 맺게할 것입니다
그리하여 우리정부는 인권을 보호하는 성벽(城璧)이 되게 될 것입니다 ("합중국은 위대한 것이다" 연설문 끝)
-아메리카정부(미국정부)는 동일한 종교, 동일한 풍속, 동일한 주의를 가진 국민이다 우리는 공동이익 자유와 독립을 위하여 투쟁하여 성공의 열매을 맺졌다
-아메리카정부(미국정부)는 자유주의 위에 건설되어 권력은 고르게 분배되고 국민의 신뢰와 원조를 요구할 정당한 이유가 있습니다 자유주의는 자본주의민주주의 혁명 후 자유주의를 의미한다
-아메리카정부(미국정부)는 하느님 축복 속에서 인권을 보호하는 성벽이 될 것입니다 인권은 개인의 인간존엄성 존중, 행복추구권과 자유권, 생존권등입니다
*내우외환(內憂外患)-국내의 걱정스러운 사태와 외국과의 사이에 일어난 어려운 사태, 안팎의 근심거리
*축복(祝福)--행복하기를 빎
*성벽(城璧)--성곽의 벽
-자료 제공
조지 워싱턴 George Washington(1732.2.22-1799.12.14)
http://www.americanhistory.or.kr/book/president/p-1.htm
워싱턴 대통령
http://www.americanhistory.or.kr/book/files/four04.html
워싱턴 대통령 고별사 자료
http://www.americanhistory.or.kr/book/link/d-1796.htm
초대 대통령 위싱턴(George Washington, 1732-1799. 제임 1789-1797)은 첫 4년의 임기가 끝날 무렵인 1792년 대통령직의 사임할 뜻을 갖고 그의 결심을 국민에게 알릴 적절한 방법을 제임스 매디슨(James Madison, 1751-1836)에게 상의한 바 그는 고별사의 형식으로 그의 뜻을 밝힐 것을 건의했다
주위의 만류로 이때는 일단 보류했다
그러나 두 번째 임기가 끝날 무렵인 1796년에는 그의 사임의사는 굳어 고별사의 문제를 다시 생각하게 됐다 그리하여 그는 매디슨이 전에 작성했던 초안에 자기의견을 덧붙여 새로운 초안을 작성하고 이 초안을 다시 알렉산더 해밀턴(Alexander Hamilton,1755-1804) 에게 손질을 가하게 하여 고발사를 완성시켰다 고별사의 원명은 고별연설로 되어있지만 실제로 연설로 행해진 바 없고 이 내용이 1796년 9월 17일 필라델피아에서 발행되는 일간신문(American Daily Advertiser)에 발표되었다 따라서 고별연설이라기보다는 고발사라고 하는 것이 좋겠다 이 고별사에서 위싱턴은 세번째의 출마를 사양하는 입장을 밝히면서 미국민들에게 대내적으로 정당간 및 지역간의 대립을 경계하고 대외적으로는 외국의 분쟁에의 개입을 경고하며 경제적 확립을 위하여 국가의 재정적 신용을 높일 것을 당부했다
조지 워싱턴은 미국 초대 대통령으로서 대영제국의 밑에 있다가 독립된 미국의 초대 대통령이다 우리들에게 너무나도 잘 알려져 있는 대통령이며 미합중국(미국)에서의 <건국의 아버지> 국부(國父)로 추앙받고 있으며 영원한 민주주의 선구자이다
조지 워싱턴 대통령은 1732년 2월 22일 버지니아 대영제국 식민지 웨스트모어랜드에서 태어났다
그는 주로 부친과 매형으로부터 교육을 받았으며 1748년 측량사 자격 취득하여 토지측량관으로 출발했다 1753년 마운트버넌농원을 매형의 유산으로 상속받았다 프런치. 인디언 전쟁에서는 민병군 사관으로 종군하여 오하이오강 지방에 진출하는 프랑스군에 대항 영국군에 협력하여 전공을 세웠다
1759년에는 부유한 미망인 M.커스티스(Martha Dandridge Custis))와 결혼하여 농원경영을 확대시키는 동시에 1774년까지 버지니아 식민지 의회의원을 지내는등 전형적인 대농(大農場) 경영자의 길을 걸었다
그때 그는 흑인노예제도에 바탕을 둔 담배 생산이 벽에 부딪치게 되자 곡물생산과 매뉴팩처, 나아가서 서부의 토지투기에서 활로를 찾으려 했다
그런 만큼 7년 전쟁(1756-1763) 뒤 식민지 본국인 영국의 중상주의 강화책 특히 식민지인의 서부진출금지책(1763년의 국왕선언, 1774년의 퀘벡법)에 반발하여 독립을 희망하게 되었고 더 나아가서는 광대한 서부를 영토로 삼는 아메리카제국 수립에 기울어지게 되었다
1774년 대륙회의 개최와 동시에 버지니아 대표가 되었고 이듬해 영국 본국과의 무력충돌이 일어나자 13개 식민지 전체의 대륙군(민병대) 총사령관으로 추대되었다 그때부터 약 10년 동안 지역할거주의와 반군감정이 드센 가운데 규율도 없고 장비. 보급도 빈약한 농민병을 훈련시키며 유럽에서 제일 강한 영국 정규병, 독일인 용병과 싸웠다
그는 정면충돌에서는 여러 차례 패배했기 때문에 전략적 방위를 철저하게 다지고 기회를 보아 기습공격을 감행하여 지구전(持久戰)으로 들어갔다
1777년 말부터 반년동안이나 계속된 밸리포지에서의 굶주림과 추위 속의 야영생활에서 독립전쟁의 고난을 체험했다
1778년 프랑스와의 동맹이 성사된 뒤 주전장(主戰場)이 된 남부에서 게릴라전이 활발히 전개되었고 1781년 콘월리스군을 요크타운에서 포위하여 이들을 항복시킴으로써 사실상 독립전쟁에 종지부를 찍었다
강화가 성립된 뒤 다시 농원생활로 돌아갔으나 1787년 필라델피아연방헌법제정회의에서 의장으로 추대되어 약체인 연합정부를 대신하는 강력한 중앙정부의 수립에 공헌했다
1789년 만장일치로 미국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어 국방부장관 토마스 제퍼슨, 재무부장관 알렉산더 해밀턴등을 임명했으며 1792년에 재선되었다
대통령으로서는 A.해밀턴의 재정정책에 따르면서 연방주의자와 반연방주의자와의 균형을 시도했으나 1794년 "위스키반란(펜실베이니아 서부 농민의 위스키 과세반대, 반중앙권력의 반란)"에는 스스로 출동, 진압시켜 국가 위신을 과시했다
외교면에서는 1789년 프랑스대혁명이 일어나자 중립을 선언했으며 영국과 에스파니아와는 각각 제이조약. 핑크니조약을 맺어 국교조정에 공헌했다 그리고 미국의 배(선박)들은 1790년 이전에 벌써 중국에까지 진출하여 모피를 팔고 차와 비단을 사들여왔다
그는 대통령 3선의 폐해를 고려하여 1796년 대통령직에서 은퇴(퇴임)를 결의하고 유명한 <고별사>를 발표했다
이 고별사에서 당쟁 및 외국과의 분쟁을 경고했는데 이것이 독립주의 외교의 전통적 발단이 되었다 그의 사후에 미국의회는 그의 죽음을 애도하며 <전쟁에서도 평화에서도 제1인자이고 국민의 마음 속에 떠오르는 최초의 인물>이라는 찬사를 보냈다
그가 죽은 직후부터 그를 국민적 영웅으로 신격화하는 움직임이 일어나 많은 신화를 만들어냈다.
-거룩한 섬광과 같은 것은 부족하지만 그러나 너의 가슴이 살아 숨쉬도록 하는 것 그것은 양심이다(위싱턴이 14살 때 쓴 글)
-내가 새라면 펄펄 날아가리라 저 하늘처럼 자유롭게 평화롭게(중학교 시절 워싱턴 연설문을 읽고 산 봉우리에서 저 넓은 들판과 그 들판에 날아가는 새를 보며)
(1)미국 제1대 대통령
(2)재임기간:1789-1797(연방당-공화당 前身)
(3)영부인(First Lady):마타 커티스 Martha Dandridge Custis 1732-1802
(4)출신
1733년 2월 22일 버지니아 Westmoreland County에서 출생
(5)주요 경력
1748년 측량사 자격취득과 함께 측량사로 활동
1753년 버지니아 민병대의 중령으로 진급(民兵隊-민간인 주도 창설한 자치군대)
1755년 버지니아 식민지군의 군사령관
1759년-74년 버지니아 하원의원
1755년-75년 제1차. 제2차 대륙회의의 버지니아 대표
1775년 6월 16일 제2차 대륙회의에서 창설된 대륙군 총사령관(Commander in chief of Continental Army, 1775-1783)
1787-88년 제헌의회 의장
1789년 2월 4일 선거인단의 만장일치로 미국 초대 대통령(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당선
1789년 4월 30일 뉴욕의 연방홀에서 취임식
1793년 재선
1796년 9월 필라델피아에서 고별사 낭독( 고별사에서 워싱턴은 세 번째의 출마를 사양하는 입장을 밝히면서 미국민들에게 대내적으로 정당간 및 지역간의 대립을 경계하고 대외적으로는 외국의 분쟁에의 개입을 경고하며 경제적 확립을 위하여 국가의 재정적 신용을 높일 것을 당부했다 세계 헌정사에서 가장 자유와 민주주의를 실천한 분으로 평가되고 있다 21세기 세계 모든 나라 지도자들이 일깨워야 할 정신이다 대통령제에서 대통령이 3선 출마행위는 독재자이다 그러므로 국민들은 3선에 출마한 압제자와 투쟁할 권리가 있다 )
1799년 12월 14일 버지니아 Mount Vernon에서 사망
모든 것이 잘 되었다 이제 나는 죽는다. 나는 죽는 것이 두렵지 않다(워싱턴이 임종시 남긴 말)
2.미국 초대 대통령 조지 워싱턴의 "합중국은 위대한 것이다" 연설문
자유로운 국토여!
일찌기 그의 품안에 내가 자라매 그 귀중함을 알고 자유를 위하여 전쟁의 위험을 무릅쓰고 내 반생의 온 정성을 기우려 자유를 받들어 세우기에 힘써 백난(百亂)을 물리치고 자유의 낙토(樂土)에 이르렀습니다
이제 압제 아래 신음하던 백성들이 자유의 깃발을 휘두르는 이 마당에 지난달을 회상함에 스스로 심각한 동정에 가슴이 막힙니다
본인의 대외정책은 세계 뭇(모든) 나라와 평화를 유지하며 언약(言約)을 지키고 나라 사이에 오해 푸는 정의정책(正義政策)이었습니다 모든 국민에게 정의(正義)를 행하여 이와 화합하여 이와 조합하는 것이 종교와 도덕의 명령이라면 이 또한 선량한 정책이 다 같이 명(命)하는 바가 아니겠습니까? 하느님이 국민의 영원한 진리가 행복을 그 덕행 속에 이르게 하심을 누가 부정하겟습니까? 덕성과 헹복의 의무요! 선량한 정책과 모든 국민의 번영을 서로 상반하는 명백한 진리입니다
아메리카 합중국(美合中國)내 각 주(州)마다 최소한 차이야 있을망정 동인종교, 동일한 풍속, 동일한 주의를 가졌습니다 우리는 공동이익을 도모하기 위하여 싸워서 이겼습니다 우리의 오늘날 얻은 독립과 자유는 우리의 합심한 노력과 위험, 고통에서 벗어난 성공의 열매라 할 것입니다
아메리카정부(미국정부)는 자유주의 위에 건설되어 권력은 고르게 분배되고 국민의 신뢰와 원조를 요구할 정당한 이유가 있습니다 국민은 정부의 권력을 존중하고 그 율법(헌법과 법률)대로 쫓으며(따르며) 그 방침을 도와야 합니다 권력을 향유(享有)하려면 또 국민의 정부를 세울 수 있는 권력은 동시에 이미 세워진 정부의 적법(適法)한 행위에 국민이 복종할 의무 안에서 비롯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법률을 정당히 시행함에 모든 애해(碍害-저해)는 정부의 행동을 압제하거나 또는 지배하려거나 또는 그것을 책(策)하는 온갖 동성(同盛)은 그 성질의 여하를 물을바 없이 철저히 파괴해야 하는 바 입니다
바라건대 하느님의 보호 안에 합중국(美合中國)은 위대한 것입니다
내우외환(內憂外患)이 자취를 감추게 할 것입니다
하느님이 주신 축복(祝福)으로 하여금 큰 열매를 맺게할 것입니다
그리하여 우리정부는 인권을 보호하는 성벽(城璧)이 되게 될 것입니다 ("합중국은 위대한 것이다" 연설문 끝)
-아메리카정부(미국정부)는 동일한 종교, 동일한 풍속, 동일한 주의를 가진 국민이다 우리는 공동이익 자유와 독립을 위하여 투쟁하여 성공의 열매을 맺졌다
-아메리카정부(미국정부)는 자유주의 위에 건설되어 권력은 고르게 분배되고 국민의 신뢰와 원조를 요구할 정당한 이유가 있습니다 자유주의는 자본주의민주주의 혁명 후 자유주의를 의미한다
-아메리카정부(미국정부)는 하느님 축복 속에서 인권을 보호하는 성벽이 될 것입니다 인권은 개인의 인간존엄성 존중, 행복추구권과 자유권, 생존권등입니다
*내우외환(內憂外患)-국내의 걱정스러운 사태와 외국과의 사이에 일어난 어려운 사태, 안팎의 근심거리
*축복(祝福)--행복하기를 빎
*성벽(城璧)--성곽의 벽
-자료 제공
조지 워싱턴 George Washington(1732.2.22-1799.12.14)
http://www.americanhistory.or.kr/book/president/p-1.htm
워싱턴 대통령
http://www.americanhistory.or.kr/book/files/four04.html
워싱턴 대통령 고별사 자료
http://www.americanhistory.or.kr/book/link/d-1796.htm
초대 대통령 위싱턴(George Washington, 1732-1799. 제임 1789-1797)은 첫 4년의 임기가 끝날 무렵인 1792년 대통령직의 사임할 뜻을 갖고 그의 결심을 국민에게 알릴 적절한 방법을 제임스 매디슨(James Madison, 1751-1836)에게 상의한 바 그는 고별사의 형식으로 그의 뜻을 밝힐 것을 건의했다
주위의 만류로 이때는 일단 보류했다
그러나 두 번째 임기가 끝날 무렵인 1796년에는 그의 사임의사는 굳어 고별사의 문제를 다시 생각하게 됐다 그리하여 그는 매디슨이 전에 작성했던 초안에 자기의견을 덧붙여 새로운 초안을 작성하고 이 초안을 다시 알렉산더 해밀턴(Alexander Hamilton,1755-1804) 에게 손질을 가하게 하여 고발사를 완성시켰다 고별사의 원명은 고별연설로 되어있지만 실제로 연설로 행해진 바 없고 이 내용이 1796년 9월 17일 필라델피아에서 발행되는 일간신문(American Daily Advertiser)에 발표되었다 따라서 고별연설이라기보다는 고발사라고 하는 것이 좋겠다 이 고별사에서 위싱턴은 세번째의 출마를 사양하는 입장을 밝히면서 미국민들에게 대내적으로 정당간 및 지역간의 대립을 경계하고 대외적으로는 외국의 분쟁에의 개입을 경고하며 경제적 확립을 위하여 국가의 재정적 신용을 높일 것을 당부했다
'Guide Ear&Bird's Eye56 > 미합중국[美合衆國]'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mocrats seize control of House (BBC) (0) | 2006.11.08 |
---|---|
Life in the WhiteHouse(워싱턴 백악관 정원 상태 견학) (0) | 2006.11.03 |
클린턴 대통령 기념 도서관 개관 (0) | 2006.09.03 |
동아시아 알(I=intelligence)센터:<인류의 자유를 위하여> 케네디 전대통령 암살 40주기 되는 2003년 11월 22일 맞이하여.. (0) | 2006.08.28 |
부시대통령과 로라 영부인 몽골방문 자료:President Discusses Freedom and Democracy in Ulaanbaatar, Mongolia. (0) | 2006.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