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美 상공회의소 “중국과 디커플링 시 국내 항공·반도체 산업 수백억 달러 손실” 본문
미국이 중국과 디커플링(탈동조화) 시 미국 기업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며 특히 항공업과 반도체 산업에 수백억 달러의 손실을 초래하는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다고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미국 상공회의소(USCC) 보고서를 인용해 보도했다.
미 상공회의소가 지난 17일 ‘미·중 디커플링의 이해’(Understanding U.S.-China Decoupling)라는 제목으로 발간한 88페이지 분량의 보고서는 중·미 디커플링의 최악의 결과를 평가했다. 보고서는 미국이 중국과 완전히 관계를 끊는다면 미국 항공업은 연간 380억~510억 달러에 이르는 매출 손실을 입고, 16만 7천 개~22만 5천 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것으로 추산했다. 미국이 중국에 반도체 판매를 중단한다면 미국 반도체 산업은 830억 달러의 매출 손실을 입고, 12만 4천 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것으로 내다봤다.
미 상공회의소는 미국 정책 결정자들이 중국과의 디커플링이 관련된 비용을 분명하게 알도록 할 수 있으므로 극단적인 상황을 고려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제러미 워터맨 미 상공회의소 중국센터 책임자는 “정책이 잘못되면 미국 기업에 매우 심각한 영향을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보고서는 정책 입안자와 업계 수장을 목표로 작성되었다. 바이든 정부는 현재 중·미 정책에 대해 광범위한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찰스 프리먼 미 상공회의소 아시아 담당 선임 부회장은 “정책 입안자들은 그들의 행위가 가져올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을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중국과의 협력 방식을 찾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미국 정책 전문가, 로비스트, 변호사들로 구성된 미국 상공회의소는 많은 기업과 무역협회를 대표하는 미국 로비 단체이자 미국의 최대 로비 단체 중 하나다. WSJ는 미 상공회의소 보고서가 미국 무역 정책 입안에 한몫할 것이라고 전했다. 미 상공회의소는 보고서 최신호를 통해 미 정부에 중국과의 디커플링 비용을 평가할 것을 촉구하면서 “정책 입안자들은 중·미 관계의 시간표를 명확하게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런 광범위한 관계를 끊으려고 시도하는 것은 역효과로 경제난을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미국 언론- > 중국 언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웨이 "6G, 2030년에 상용화" (0) | 2021.05.01 |
---|---|
中 여자축구 도쿄올림픽 아시아 최종예선 플레이오프, 한국에 2-1승리 (0) | 2021.04.11 |
주한 중국대사관 선정 ‘2020년 10대 뉴스’ (0) | 2021.02.10 |
박영선 前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서울시장 출마선언…“안전하고 공정하고 따뜻한 서울을 만들 것” (0) | 2021.02.10 |
백악관 주인 바뀌었는데 적폐 청산 어려워 (0) | 2021.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