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민주통합당과 진보통합당 연합공천 그리고 병정분리주의 좌익군정? 본문
민주통합당과 진보통합당 연합공천 그리고 병정분리주의 좌익군정?
반미세력[NL계열]과 민족해방인민민주주의 혁명[NLPDR]이 북한 병정분리주의 좌익군사정부나 남한 내부 국가사회주의 세력[침략주의 극렬민족주의 장기집권 지도자 우상화 신격화이론 군사정부] 이중대가 되지 말아야 합니다
북한정부 온건파는 남북협력세력[개혁 개방세력]이며 강경파는 민족해방 인민민주주의 혁명[NLPDR]세력이며 북한 군부입니다 북한정부 강경파는 유엔이 국제테러 조직 배후세력이며 핵무기 개발과 대남 군사작전 추진세력으로 유엔경제, 군사등 제재를 받고 있습니다
경기동부연합은 통합진보당의 주류인 자주파(NL)의 핵심 정치계파를 가리킨다. 이 계파는 지난해 12월 통합진보당이 출범할 때 합류했던 진보 성향의 주요 3세력 가운데 가장 큰 덩치였던 민주노동당의 당권을 장악했었다. 경기 성남 지역의 노동·학생 운동권 세력을 주축으로 구성돼 경기동부연합이라고 불렸다.
이들은 민노당 시절 당 지역위원장을 선출할 때 특정 지역에 조직원들을 위장 전입시키는 방법으로 자기 계파의 후보를 위원장으로 만드는 등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계파 세력 확대에 전력을 다한 것으로 ‘악명’이 높다는 말이 진보진영 내부에서도 나오고 있다.
민주노총 간부의 성폭행 사건을 무마하려 했다는 의혹을 받았으나 통합진보당의 비례대표 후보(순위 4번)로 확정된 정진후 전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위원장, 성추행 전력에도 통합진보당이 야권 단일후보(경기 성남 중원)로 인준했다가 여론의 거센 비난으로 결국 사퇴한 윤원석 전 ‘민중의 소리’ 대표도 경기동부연합 출신으로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당 안팎에선 “정식 당직도 없는 소수가 이너서클을 형성해 당 의사결정에 개입한다. 당의 주요 메시지가 이들의 내부 조율을 거쳐 나온다”는 지적이 있다.
민노당에서 경기동부연합을 중심으로 한 자주파와 비주류였던 평등파(PD)의 갈등은 뿌리가 깊다. 2008년엔 결국 분당 사태로 이어졌다. 통합진보당의 심상정 공동대표와 노회찬 대변인은 당시 민노당을 탈당해 진보신당을 만들었다. 자주파가 북한 공작원과 접촉해 당내 주요 인사들의 정보를 넘긴 ‘일심회’ 사건 관련자의 제명안을 거부한 게 발단이었다. 당시 평등파들은 민노당의 종북주의 청산을 주장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랬던 민노당과 진보신당 탈당파, 유시민 대표의 국민참여당이 합쳐 만든 당이 통합진보당이다.
진보 정당의 오래된 계파 갈등이 재연될 조짐이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이 대표의 사퇴 문제를 놓고 당권파와 진보신당, 국민참여당 출신의 비주류 간 의견 차가 계파 간 논쟁으로 비화되고 있는 것이다. 당의 비주류는 야권연대 성사와 당의 도덕성을 위해 이 대표가 사퇴해 털고 가는 게 불가피하다는 주장이다. 당권파인 자주파는 이 대표의 후보 등록을 고수하고 있다. 여론이 싸늘한 데다 ‘사퇴 불가’의 명분이 궁색해 사퇴할 수밖에 없을 것이란 관측도 있었지만 22일 밤 진보당 관계자는 “이 대표는 후보 등록 결정을 바꾸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미국 언론- > 아시아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韓国、放送各社が一斉に政治スト 選挙を前に野党支援? (0) | 2012.03.24 |
---|---|
'고향에서 마지막 봉사' 강삼재 무소속 후보 (0) | 2012.03.24 |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 대결구도 (0) | 2012.03.21 |
4월 총선에서 민주화 세력이 승리할때 북한 병정분리주의 좌익군정 종식에 큰 힘 (0) | 2012.03.19 |
100년 前 일본 여성들의 모습 (0) | 2012.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