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MS·아마존·구글 등 AI 인프라 구축에 내년 280조원 쏟아붓는다 본문
MS·아마존·구글 등 AI 인프라 구축에 내년 280조원 쏟아붓는다
CIA Bear 허관(許灌) 2024. 11. 25. 04:59
인공지능(AI) 기술 개발이 본격화되며 테크 분야의 투자자들이 더이상 기술 뿐만 아니라 거시경제적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하드웨어 중심의 자본 집약적 투자로 인해 경기 변화가 투자 수익률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23일 로이터에 따르면 내년에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 등의 주요 테크 기업들이 AI 인프라 구축에 약 2천억 달러(한화 약 280조원)를 투자할 계획이다. 이는 지난 2021년 대비 약 두 배에 달하며 주로 생성형 AI 기술 개발에 따른 것이다.
특히 이러한 투자 증가는 하드웨어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어 지난 2010년대의 소프트웨어 중심 기술 개발과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하드웨어는 초기 투자 비용이 크고 경기 둔화 시 조정이 어려운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AI 개발을 위한 하드웨어 인프라에는 막대한 자본과 시간이 소요된다. TSMC는 지난 2020년대 초반 애리조나 공장 건설에 400억 달러(한화 약 56조원)를 투입하고는 오는 2025년에야 생산을 시작할 예정이다.
AI 스타트업도 소프트웨어 기업과 달리 초기 대규모 자본이 필수적이다. 오픈AI는 올해 66억 달러(한화 약 9조원)의 자본과 40억 달러(한화 약 5조원)의 부채를 확보하며 이러한 자본 집중 현상을 잘 보여줬다.
경제가 둔화되거나 자본 비용이 증가하면 이러한 자금 조달은 점점 어려워질 수 있다. 이는 스타트업의 성장뿐 아니라 대기업의 AI 인프라 수요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또 하드웨어 산업은 경기 순환적 특성을 띠며 시장 수요에 따라 생산량과 가격이 크게 변동한다. 이는 테크 산업이 전통적인 제조업과 비슷한 경제적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실제로 반도체 산업은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와 판매량 간의 상관관계가 강한 산업 중 하나다. 다만 AI 투자 열풍이 시작된 이후 이러한 연관성이 상대적으로 약화된 상황이다.
타오샤 왕 피델리티 인터내셔널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AI가 기술 산업의 중심에 있지만 경기 순환의 법칙은 여전히 유효하다"며 "테크 투자자들도 거시경제적 시각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MS·아마존·구글 등 AI 인프라 구축에 내년 280조원 쏟아붓는다 - ZDNet korea
'Guide Ear&Bird's Eye6 > 산업의 쌀 반도체(5G. 인공지능, 자율주행. 태양광 재생에너지 등 )' 카테고리의 다른 글
美, 삼성전자 보조금 최종 결정…26% 줄어든 47.5억 달러 지급 (0) | 2024.12.22 |
---|---|
미국 상무부, ‘군사용 첨단 반도체’ 대중 수출통제 강화 발표 (0) | 2024.12.03 |
삼성전자 HBM 엔비디아 납품 가속… 젠슨 황 "패스트트랙 처리" (0) | 2024.11.25 |
삼성전자, 2024년 3분기 실적 발표 (0) | 2024.11.02 |
삼성전자, 업계 최초 ‘24Gb GDDR7 D램’ 개발 (0) | 2024.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