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Asia-Pacific Region Intelligence Center

세계를 놀라게 한 중국 AI 챗봇 '딥시크'... 그 파장은? 본문

Guide Ear&Bird's Eye6/산업의 쌀 반도체(5G. 인공지능, 자율주행. 태양광 재생에너지 등 )

세계를 놀라게 한 중국 AI 챗봇 '딥시크'... 그 파장은?

CIA Bear 허관(許灌) 2025. 1. 28. 20:26

중국에서 개발된 인공지능(AI) 모델 딥시크(DeepSeek)가 애플 앱스토어 다운로드 순위 1위를 차지했다.

이에 투자자들은 놀라움을 숨기지 못했고, 일부 기술주마저 급락하기도 했다.

지난 1월 20일 출시된 이 앱은 출시 직후 AI 전문가들의 관심을 빠르게 사로잡았고, 기술 업계를 넘어 전 세계의 주목을 받았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를 두고 "미국 기업들에게 있어 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집중해야 한다는 경종"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딥시크의 특별함은 업계 선도 모델인 오픈AI가 개발한 것과 유사한 AI 모델을 훨씬 적은 비용으로 개발한 데 있다. 딥시크 회사는 고성능 칩을 상대적으로 적게 사용했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전했다.

이로 인해 반도체 제조 대기업 엔비디아의 시장 가치는 현지시간 월요일 단 하루 만에 약 6천억 달러 감소했으며, 이는 미국 역사상 단일 기업 최대 하루 손실로 기록됐다.

딥시크의 등장은 미국 정부가 중국의 기술 패권을 저지하려는 노력이 과연 효과가 있는지 의문을 제기하게 한다. 미국의 대중 제재 중 하나는 고성능 반도체의 중국 수출 금지 조치다.

하지만 중국 정부는 이에 굴하지 않고 AI를 최우선 과제로 선언하며 대응에 나섰다.

시진핑 국가 주석은 AI를 국가적 우선 순위로 강조했으며, 딥시크와 같은 스타트업은 중국이 전통 제조업(의류와 가구)에서 첨단 기술(반도체, 전기차, AI)로 전환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딥시크에 대해 현재까지 공개된 정보는 다음과 같다.

딥시크는 무엇인가?

간단히 말해 딥시크(DeepSeek)는 챗GPT와 같은 AI 기반 챗봇이다.

애플 앱스토어의 설명에 따르면, 딥시크는 "질문에 답하고 효율적으로 삶을 개선하도록 설계"됐다.

딥시크 구동 AI 모델인 R1은 수학, 코딩, 자연어 추론에서 오픈AI의 O1 모델에 대적하는 성능을 가지면서도 개발 비용은 훨씬 저렴한 것으로 알려졌다.

출시 후 일주일 만에 딥시크는 미국 앱스토어에서 가장 높은 평점을 받은 무료 애플리케이션이 됐지만, 회사는 월요일에 "대규모 악성 공격"으로 인해 신규 가입을 일시적으로 제한하겠다고 발표했다.

딥시크의 R1 모델은 약 6700억 개의 매개변수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현재로서 가장 큰 오픈소스 대규모 언어 모델로 알려졌다. 이 내용은 애닐 아난타스와미(Anil Ananthaswamy)가 2024년에 출간한 책 '왜 기계들은 학습하는가: 현대 AI의 배후에 있는 정교한 수학(Why Machines Learn: The Elegant Math Behind Modern AI)'에 소개됐다.

그러나 많은 중국 애플리케이션과 마찬가지로, 딥시크 역시 정치적으로 민감한 질문에 대해서는 제한적인 태도를 보인다.

BBC가 1989년 6월 4일 톈안먼 광장에서 무슨 일이 있었는지 묻자, 딥시크는 다음과 같이 답변했다.

"죄송합니다. 저는 유익하고 해가 없는 답변을 제공하기 위해 설계된 AI 어시스턴트입니다."

오픈AI와 같은 기업이 기술을 비공개로 유지하는 것과 달리, 딥시크는 제품의 코드를 오픈소스로 공개해 업계의 찬사를 받고 있다.

앱 개발 비용이 정확히 문서화되지 않았지만, 연구진들은 이 앱을 개발하는 데 600만 달러(약 48억 원) 가량 들었다고 말했다. 이는 미국 AI 기업들이 투입한 수십억 달러와 비교하면 매우 낮은 예산이다.

딥시크의 배후에는 누가 있는가

딥시크(DeepSeek)는 2015년에 설립된 중국 헤지펀드 하이플라이어(High-Flyer)에서 시작됐다. 이 회사는 양적 거래를 위해 AI를 활용하는 곳이다.

2019년, 하이플라이어는 거래를 위한 AI 알고리즘 및 애플리케이션 연구에 전념하는 자회사를 설립했다. 같은 해, 하이플라이어는 중국에서 처음으로 1000억 위안 이상을 조달한 양적 헤지펀드로 등극했다.

그 해, 하이플라이어의 설립자 량원펑은 미국과 중국의 양적 거래 부문을 비교하는 연설을 했다.

그는 이 연설에서 "미국이 양적 거래 부문을 발전시킬 수 있다면, 왜 중국은 안 되는가?"라고 의문을 제기했다.

40세의 량원펑은 중국 저장대학교에서 전자정보공학 및 컴퓨터공학을 전공했으며, 엔비디아 A100 칩을 대량으로 비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칩은 2022년 9월부터 중국으로의 수출이 금지된 품목이다.

전문가들은 그의 칩 비축량이 약 5만 개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이를 통해 그가 고성능 칩을 저가의 덜 정교한 칩과 결합해 딥시크를 설립할 수 있었다고 보고 있다.

량원펑은 2023년 중국 남동부 도시 항저우에서 딥시크를 창립했으며, 이듬해 첫 AI 대규모 언어 모델을 출시했다.

최근에는 중국 리창 총리가 주최한 회의에서 모습을 드러내며 딥시크가 AI 산업에서 점점 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보여주기도 했다.

미국 기업에 미칠 영향은?

딥시크(DeepSeek)의 성과는 AI 발전에 있어서 대규모 예산과 최상급 칩만이 유일한 해결책이라는 기존 믿음을 뒤엎었다.

이는 고성능 칩의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을 초래한다.

카운터포인트 리서치의 AI 수석 애널리스트 웨이 선(Wei Sun)은 "딥시크는 제한된 컴퓨팅 자원으로도 최첨단 AI 모델을 개발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고 말했다.

"반면, 1570억 달러의 가치를 평가받고 있는 오픈AI는 혁신에서 지배적인 우위를 유지하거나 막대한 평가액과 지출을 정당화할 만한 실질적인 수익을 내지 못하는 점에서 비판을 피하지 못할 수 밖에 없습니다."

딥시크의 상대적으로 낮은 개발 비용은 지난 27일 금융 시장을 뒤흔들었으며, 전 세계 칩 제조업체와 데이터 센터를 포함한 기술 중심 나스닥 지수가 3% 이상 폭락하는 거대한 매도량를 초래했다.

특히 엔비디아가 가장 큰 타격을 입은 것으로 파악된다. 엔비디아는 현지시간 월요일 하루 만에 시장 가치가 약 6천억 달러 감소하며, 미국 역사상 단일 기업 최대 하루 손실을 기록했다. 주가는 하루 동안 17% 급락했다.

엔비디아는 시가총액 기준으로 세계에서 가장 가치 있는 기업이었지만, 이날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에 이어 3위로 밀려났다. 포브스에 따르면, 엔비디아의 시장 가치는 3조 5천억 달러에서 2조 9천억 달러로 축소됐다.

중국의 반응은?

전문가들은 딥시크(DeepSeek)의 발전이 중국 내에서 더 큰 야망을 불러일으키며 다른 기술 기업들이 유사한 혁신 경로를 추구하도록 영감을 줄 것이라고 보고 있다.

호주 시드니 공과대학교의 마리나 장(Marina Zhang) 부교수는 "중국에서 딥시크의 발전은 기술적 역량과 자립성이 강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로 환영받고 있다"고 말했다.

"이 회사의 성공은 젊은 세대의 기업가들이 주도하는 새로운 시대의 자국 기술 리더십, 즉 '중국 혁신 2.0'의 타당성을 입증한 사례로 간주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장 부교수는 이처럼 중국의 기술 기업가들이 도전을 기회로 전환하는 능력을 입증한 것이 오히려 "기술적 고립주의"로 이어질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카운터포인트 리서치의 웨이 연구원은 중국의 오픈소스 커뮤니티 내 반응이 "충격과 흥분이 뒤섞인 상태"라고 전했다.

그는 "중국의 대표적인 애플리케이션 중심 시장과 딥시크의 무료 접근성을 고려할 때, 중국의 AI 도입 속도는 더욱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인공지능: 세계를 놀라게 한 중국 AI 챗봇 '딥시크'... 그 파장은? - BBC News 코리아

 

인공지능: 세계를 놀라게 한 중국 AI 챗봇 '딥시크'... 그 파장은? - BBC News 코리아

중국의 스타트업 '딥시크'는 고성능 칩을 상대적으로 덜 사용하는 저비용 AI 모델을 개발했다.

www.bbc.com

딥시크 설계자: 량원펑은 누구인가?

딥시크(DeepSeek), 전 세계를 놀라게 하다. 우리는 무엇을 알고 있는가?

중국의 새로운 AI 돌풍, 딥시크(DeepSeek)가 기술 업계를 강타했다.

이 챗봇은 미국에서 가장 많이 다운로드된 무료 앱으로 등극하며 ChatGPT를 제치고 정상에 올랐다. 동시에 창립자인 억만장자 량원펑(梁文峰, Liang Wenfeng)은 단숨에 중국 내 유명 인사가 됐다.

지난주에 출시된 이 저비용 챗봇은 경쟁사의 예산보다 훨씬 적은 비용으로 개발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월스트리트가 충격에 휩싸였고 경쟁사들은 서둘러 대응책을 마련하는 중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딥시크의 성공을 두고 "미국 기업들이 반드시 승리하기 위해 경쟁해야 한다는 경종"이라고 언급했다.

중국 정부 회의에 참석한 딥시크 창립자 량원펑(오른쪽)

'괴짜 같은 인물'

딥시크는 2023년 12월 량원펑이 창립했다. 그는 이듬해 첫 AI 대형 언어 모델(LLM)을 공개했다.

40세인 그는 중국 남부 광둥성에서 태어나 저장대학교에서 전자정보공학과 컴퓨터과학을 전공했다.

그에 대해 알려진 바는 많지 않지만, 중국 기술 매체 36Kr에 따르면, 주변 사람들은 그를 "CEO라기보다 괴짜 같은 사람"이라고 평가했다.

공개석상에 거의 모습을 드러내지 않고 인터뷰도 드문 그가 이제 국제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실제 그는 최근 중국 권력 서열 2위인 리창 총리와의 기업인 회의에 초청된 유일한 AI 기업 대표다. 당시 기업인들은 "핵심 기술 돌파에 집중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금융에서 AI로

실리콘밸리 출신이 많은 미국 AI 기업가들과 달리 량원펑은 금융업계에서도 경력을 쌓았다.

그는 AI를 활용한 양적 투자 헤지펀드인 하이플라이어의 CEO로, AI 기술을 활용해 금융 데이터를 분석하고 투자 결정을 내리는 데 주력했다.

2019년 하이플라이어는 1000억 위안(약 13억 달러) 이상을 조달한 중국 최초의 양적 헤지펀드가 되었다.

이곳에서 량원펑은 AI 및 알고리즘을 활용해 주가 변동 패턴을 분석하며 막대한 부를 축적했다. 그의 팀은 엔비디아의 H800 칩을 사용해 주식 거래에서 수익을 창출하는 데 능숙했다.

그는 2023년 딥시크를 창립하며 "인간 수준의 AI를 개발하겠다"고 선언했다.

중국 AI 인재 육성

량원펑은 딥시크의 연구에 직접 참여하고 있으며 헤지펀드에서 얻은 수익으로 최고 수준의 AI 인재들에게 파격적인 연봉을 지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딥시크는 베이징, 항저우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북경대를 비롯해 칭화대, 북경항공항천대학 등 중국 최고 명문대 출신 박사들로 구성된 연구진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틱톡 모회사인 바이트댄스와 함께 중국 내 AI 엔지니어들에게 가장 높은 연봉을 제공하는 기업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량원펑은 지난해 중국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우리 핵심 팀에는 해외 유학파가 없다. 모두 현지 출신이다. 우리는 직접 최고 인재를 길러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중국의 AI 산업이 "언제까지나 추격자로 남을 수는 없다"고 지적했다.

"우리는 흔히 중국과 미국 AI 간의 격차가 1~2년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진짜 격차는 '창의력'과 '모방'의 차이다. 이것이 바뀌지 않는 한 중국은 영원히 추격자일 수밖에 없다."

딥시크의 경쟁 우위

딥시크의 개발자들은 이 챗봇이 챗GPT와 같은 경쟁 제품에 비해 극히 적은 비용으로 개발됐다고 주장한다

딥시크는 자사의 AI 모델 R1이 기존 기술과 누구나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개발됐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WIRED 매거진은 딥시크의 창립자인 량원펑이 운영하는 헤지펀드 하이플라이어가 AI의 핵심인 GPU(그래픽 처리 장치)를 대량으로 확보해 왔다고 보도했다.

MIT 테크놀로지 리뷰에 따르면, 그가 확보한 GPU는 1만 개에서 5만 개로 추정된다.

이러한 고성능 칩은 기본적인 질문에 답변하는 것부터 복잡한 수학 문제를 해결하는 것까지 다양한 인간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AI 모델을 구축하는 데 필수적이다.

지난 2022년 9월 미국은 이러한 고성능 칩의 대중국 수출을 금지했다. 이에 대해 량원펑은 중국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이를 "가장 큰 도전 과제"라고 언급했다.

현재 서방의 주요 AI 모델들은 약 1만6000개의 고급 칩을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딥시크는 2,000개의 고급 칩과 수천 개의 저사양 칩을 활용해 AI 모델 R1을 훈련했다고 주장하며 이를 통해 비용 절감을 실현했다고 설명한다.

개발진에 따르면 딥시크의 챗봇은 제작 비용이 560만 달러(약 75억 원)에 불과하며, 이는 지난해 오픈AI가 챗GPT 개발에 투입한 50억 달러(약 6조 7000억 원)와 비교하면 극히 저렴한 수준이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이 주장을 의심하고 있다.

미국의 테크 억만장자 일론 머스크는 딥시크가 실제로 얼마나 많은 고급 칩을 사용했는지 밝힐 수 없는 상황에서 이러한 주장이 나오는 것은 의문스럽다고 지적했다.

미국의 제재가 중국 AI 혁신을 촉진했나?

전문가들은 미국의 칩 수출 금지가 중국 AI 업계에 도전과제이자 기회를 동시에 제공했다고 분석한다.

마리나 장 시드니 공과대학교 부교수는 "이러한 제한 조치는 도전이기도 하지만, 중국 기업들이 제한된 자원으로 더 많은 것을 해낼 수 있도록 혁신을 강요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제한 속에서도 창의성과 회복력을 키우는 것은 중국 정부의 기술 자립 정책과도 부합한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중국은 배터리, 전기차, 태양광 패널, AI 등 첨단 기술 산업에 막대한 투자를 해왔다.

시진핑 국가주석은 '중국을 기술 강국으로 만들겠다'는 야심을 오래전부터 밝혀왔으며 미국의 규제가 베이징이 기술 독립을 추진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분석도 나온다.

엇갈리는 반응

트럼프 대통령은 불과 며칠 전 AI 업계 리더들과 행사를 개최했다

딥시크의 등장은 기술업계에서 뜨거운 반응을 불러일으키며 주요 IT 기업들의 주가 폭락을 초래했다.

특히 엔비디아 주가는 월요일 뉴욕 증시 마감 시점까지 17% 급락하며 시가총액 6000억 달러가 증발했다. 블룸버그는 이를 미국 증시 역사상 가장 큰 폭의 하락 중 하나로 평가했다.

벤처 캐피털리스트 마크 안드레센은 딥시크 R1을 두고 "AI의 스푸트니크 순간"이라면서 1957년 소련이 세계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를 발사하며 미·소 간 우주 경쟁을 촉발한 사건에 비유했다.

반면 딥시크의 급부상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미국 애널리스트 진 먼스터는 BBC와의 인터뷰에서 "딥시크가 공개한 재무 데이터의 진실은 아직 표면 아래에 감춰져 있을 가능성이 크다"며 기업의 실제 자금 조달 방식과 수익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그는 "챗봇 성능이 놀랍도록 뛰어난데 이 때문에 오히려 믿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고 덧붙였다.

호주 과학부 장관 에드 휴식은 딥시크의 보안 문제에 대한 경고를 내놨다.

그는 "이 기술의 품질, 소비자 선호도, 데이터 및 프라이버시 관리 등에 대한 많은 질문이 제기될 것이며, 이에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딥시크 설계자: 량원펑은 누구인가? - BBC News 코리아

 

딥시크 설계자: 량원펑은 누구인가? - BBC News 코리아

수수께끼 속 중국인 억만장자가 인공지능(AI) 업계를 강타하며 소셜미디어에서 'AI 영웅'으로 찬사를 받고 있다. 전세계 이목을 집중시킨 이 남자는 과연 누구일까?

www.bbc.com

 

 

 

-미국 AI 인공지능 기업들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미국정부의  상업용 인공지능 국제적 고립주의 규제보다는 국제적 자유경쟁이 돼야 값싼 저비용, 고성능 기술적으로 우수한 인공지능(AI) 모델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그래야 인공지능(AI)모델도 제품의 가격 차별화로 국제적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세계 각국 소비자들도 저비용 고성능 우수하고 값싼 인공지능(AI) 모델 제품을 구입할 수 있을 것입니다

기술적으로 퇴보되고 구시대 제품은 사라질 것이고 기술적으로 진보되고 신시대 제품만 살아남을 것입니다